김병장네 실시간 이슈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남침을 계기로 한반도의 허리가 잘려나갔습니다. 분단 과정을 거치면서 대한민국과 북한은 치열한 첩보 활동을 벌였습니다. 1950년 이후 남북한 곳곳에서 활동했던 간첩은 상상이 아니라 실제였습니다. 이들은 정보 수집, 반정부 지하조직 구축, 요인 살해, 납치, 파괴 등의 활동을 했습니다. 

 


정확히 대한민국내에서 얼마나 많은 간첩이 활동했는지 정확한 숫자는 알 수 없습니다. 사실 간첩으로 오인당하거나, 정권의 필요에 의해 조작된 사건도 있기 때문에 검거된 간첩 숫자 역시 그대로 믿기는 어려운 게 현실입니다. 국정원 <검거 간첩 연도별, 기관별 통계> 등에 따르면 대한민국에서 검거된 간첩은 4495명에 달합니다. 대한민국에서 북한에 침투시킨 요원은 생환자 포함 1만1273명입니다. 물론 북한이 보낸 남파 간첩의 경우, 검거된 숫자보다 훨씬 더 많은 인원이 투입됐을 것으로 보입니다.

 


남파 간첩의 숫자는 주로 1950년대(1674명), 1960년대(1686명)에 집중돼 있습니다. 이승만, 박정희 정권 시절입니다. 1970년대에 검거 간첩은 681명으로 줄어듭니다. 신군부가 정권을 찬탈했던 1980년 대에는 340명, 문민정부가 들어선 1990년대에는 114명의 간첩이 검거됐습니다.

 


표면적으로 1970년대 들어서 검거된 간첩이 줄어든 것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성과 중 하나인 1972년 7.4남북공동성명 이후 전 세계적 해빙 무드에 맞춰 남북한의 관계도 다소 개선됐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1976년 이후 간첩으로 자수하거나 체포, 사살된 사람은 약 700명인데, 그중 침투 단계에서 사살된 사람이 130여 명이었습니다. 검거된 직파 공작원은 10여 명에 지나지 않습니다. 나머지는 대부분 재일교포, 해외 취업 등을 통한 우회 간첩 사건이나, 월북자 가족 관련 간첩 사건, 납북 어부 간첩 사건 등이었습니다.

 


잘 알려지지 않은 사건이지만 1974년 무려 47명을 검거해 3명을 사형시켰던 '울릉도 간첩 사건'은 재심 법원에서 조작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그렇게 41년만에 무죄가 확정되었습니다. 문제는 무죄를 확정받은 5명 가운데 3명은 이미 숨졌으며 한명은 1977년 사형이 집행되기도 하였습니다. 그 외에도 숱한 간첩 조작 사건의 진상이 더디지만 조금씩 밝혀지고 있는 중입니다. 


 


황장엽이 간첩이 5만명이 있다고 주장했다는 이야기가 있으니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황장엽은 그런 얘기는 한 적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물론
간첩을 잡는게 어렵지만 대한민국에서도 1년에 간첩 10여명, 협조자 3~5명 정도는 꼬박꼬박 잡히고 있다고 합니다. 국정원의 경우 간첩사건 하나당 5~8명 정도의 부서를 구성하며 2,3년씩 한 간첩을 추적합니다. 이 과정에서 도청, 미행 등 초법적인 감시수단, 주민등록 기록 등 정부 차원에서나 얻을 수 있는 개인정보를 동원합니다.

 

대한민국에서의 간첩신고는 국번없이 111(국가정보원), 112(대한민국 경찰청), 1337(국군기무사령부)으로 가능합니다. 간첩으로 보이는 사람이 있으면 절대 내색하거나 떠보지 말고 간첩신고를 해야합니다. 다만 요즘에는 첩보전이 점점 발달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인이 간첩을 판별하기가 너무 힘들다는 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