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장네 실시간 이슈

 

NLL은 서해뿐만 아니라 동해에도 그어져 있는데, NLL 그을 때야 군사적, 정치적 판단으로 그은 거지만 동해 어민들 입장에선 NLL 북쪽 해역에서 명태가 더 잘 잡혔습니다. 안 그래도 먹고살기 어려운 시절인지라, 어민들은 자주 NLL 북측수역에서 어로작업을 했고, 이를 말려야 했던 우리나라 해군은 어쩔 수 없이 같이 넘어가서 보호작전 및 철수요구를 해야 했습니다.

 

 

그리고 1967년 1월 19일 언제나 그렇듯 우리나라 어선들은 명태 잡으러 NLL을 넘었고, 이에 당포함도 덩달아 넘어가서 어선들에게 북한 수역에서 내려오라고 경고를 하였습니다. PCE-56 당포함은 미국으로부터 도입한 650톤급 초계함이었습니다

 

▲당시 당포함에 승선한 장병들 모습

 

하지만 그 순간 북한 경비정 2척이 출현했습니다. 당포함은 이들이 어선을 납북해 가려는 것으로 파악하고 즉각 대응에 들어가 북쪽으로 전진했고, 북한 경비정들은 퇴각했습니다. 사실 변변한 함정이 없었던 북한 해군은 미국으로부터 공여 받은 우리나라 해군에 대항할 수단이 별로 없었습니다.

 

▲침몰하기 전까지 명태잡이 어선들을 끝까지 보호한 당포함

 

그러나 북한 경비정들이 얌전히 퇴각한 것은 북한의 노림수였습니다. 13시 55분, 북한 해안가 포진지에서 기습적으로 포격이 시작되었습니다. 소련에서 들고 온 강력한 122㎜ 해안포 10여 문이 일제히 불을 뿜으며 당포함 주위에 물기둥을 만들었고, 기관실을 시작으로, 스크류, 기관포탑 등이 계속 피탄당하며 당포함은 순식간에 전투능력을 상실했습니다.

 

▲당시 당포함에 침몰 기사

 

바로 당포함도 급히 응사했으나 당포함의 무장은 3인치(76.2㎜) 포 1문, 40㎜ 6문, 20㎜ 4문에 불과했으므로 화력면에서 상대가 되질 않았고, 40㎜와 20㎜ 기관포는 아예 북한군 포대에 도달하지도 못 했으며 3인치 함포는 북한군의 포탄을 맞고 조기에 제압되고 말았습니다. 게다가 북한군 포들은 해안의 진지에 잘 은폐되어 있었으므로 20발을 발사한 3인치 함포탄도 별 타격을 주지 못했습니다.

 


뒤이어, 작전 중인 다른 해군 함정들이 달려오자 북한군의 포격은 멎었습니다. 그러나 이미 당포함은 만신창이가 되어 기동 불능 상태에 놓였고, 결국
함장은 퇴함명령을 내렸습니다. 이 공격으로 당포함은 결국 침몰했고, 승조원 39명이 전사했습니다. 이중 28명은 시신도 건지지 못했습니다.

 


이 사건으로 당시 어로작업에 참가했던 어민 중 몇 명이 해군에 미안하다며
자살하는 일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명태가 북한 수역에서 더 잘 잡히는건 여전한 사실이었고, 어선들은 계속 NLL을 넘었습니다. 그리고 어로자원을 따라 남북한 어선이 NLL을 오르락내리락 하는 것은 90년대 들어서야 사라졌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작년 중국에 서해 북방한계선(NLL)에 이어 동해 NLL 인근 조업권도 판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당포함 사건은 북한측의 치밀하게 준비된 도발로서 비록 우리 측이 NLL을 먼저 넘었긴 했지만 경고 없이 바로 조준사격을 한다는 것은 국제적 관례를 어긋나도 한참 어긋나는 짓이라 북한측의 책임이 컷습니다. 1999년 이후 제 1, 2차 연평해전이나 대청해전 모두 북한측이 넘어왔어도 우리나라 해군은 처음부터 조준사격을 가하지 않고 사전 경고를 먼저 보냈지만 북한 해군은 포탄으로 대답했습니다.

 

 

1970년 1월 19일, 전몰장병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당포함 전몰장병 충혼탑이 건립되었습니다. 그렇게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자 하는 대한민국 해군의 임무를 충실히 이행하고, 전사하신 분들을 추모하며, 매년 1월 19일, 강원도 고성군에서는 당포함 전몰장병 추도식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천안함 46용사 뿐 아니라, 당포함 39명의 순국 장병들도 잊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