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장네 실시간 이슈

 

카투사(KATUSA)는 Korean Augmentation Troops to the United States Army의 약칭으로 미군부대에 배속돼 근무하는 한국군 병사를 말합니다. 카투사는 한국전쟁에 당시 파병된 유엔군에게 가장 큰 에로사항은 언어소통과 익숙지 못한 한반도 지형이었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1950년 8월 15일 맥아더 장군과 이승만 대통령의 구두협약을 맺으면서 탄생하였습니다.

 

 

한국전쟁 카투사는 전사율이 높은 보직이었습니다. 하지만 당시 전우들과 똑같이 피를 흘렸음에도 불구하고 편하게 지내왔다고 오해받은 경우가 많으며 한국전쟁에 카투사가 있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한국전쟁 당시 누구보다 용감했었던 카투사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951년 초 경기 덕정 인근에 배치된 호주군 대대에 배속된 카투사

 

당시 카투사는 유엔(UN)군에 배속되어 미국뿐만 아니라 영국·캐나다·호주·프랑스·벨기에·룩셈부르크·네덜란드·그리스 군대에 배속되었으며 첫 카투사는 50년 8월 16일 일본 요코하마 항에 도착한 313명이었습니다. 이들에게는 K로 시작하는 군번이 주어졌지만 당시 카투사는 대부분 군번도 계급도 없었습니다. 그리고 카투사 징집 기준은 소총을 어깨에 메고 땅에 닿지 않으면 합격이었습니다.

 

 

 

그리고 카투사들은 미 육군 7사단에 배속되어 인천상륙작전에도 참여했는데 정확한 숫자는 파악이 안되지만 당시 미 7사단에 병력 50%가 카투사였다고 합니다.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하고 카투사는 서울을 탈환하면서 북으로의 진격을 계속했습니다. 이어 10월 19일 평양을 점령하고 11월 21일 압록강변의 혜산진과 초산까지 진격하기도 했습니다. 이후 장진호 전투에서 중공군은 최소 만명 이상 전사하였지만 카투사 875명도 전사하거나 실종되기도 하였습니다.

 


장진호 전투가 일본의 진주만 공습 이후 미군의 가장 굴욕적인 전투라고 평가하기도 하지만 사실 혹한의 추위 속에 유엔군은 17일간 장진호 주변에서 사실상 중공군을 괴멸시켰습니다. 이로 인해 중공군의 중동부 전선 남하가 지연되었습니다. 그리고 당시 중공군의 최종 진격 목표는 부산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장진호 전투에서 카투사 역할이 괸장히 컸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한국전쟁에서 카투사의 활약은 엄청났습니다. 카투사는 북한군의 방어진지를 찾아내고 북한군과 한국군을 식별하였으며 임무와 포로를 심문하는 일까지 모두 맡았으며 유엔군 일원으로 직접 전투에 참여하였으며 두려움 없이 앞장서서 싸우는 용감한 전사였습니다.

 

 

전쟁터에서 수색·안전 정찰 등 위험한 일도 카투사의 몫이었으며 박격포·무반동총·탄약 등의 무거운 병기류 운반도 하는 등 전쟁터 모든 곳에 카투사가 있었습니다. 한국전쟁 3년 동안 4만3000여명이 참전했고, 이 가운데 9000여명이 사망 또는 실종됐습니다. 이처럼 한국전쟁에서 유엔군이 쌓아 올린 혁혁한 전공 속에는 4만3000여 명의 카투사들의 이 흘린 피와 땀, 노력이 고스란히 녹아 있습니다.

 

 

“카투사들은 내가 지휘해 본 가장 훌륭한 군인이었다.

그들은 절대 술에 취한 채 나타나지 않았다.

지칠 줄 모르며 군기가 서 있었고 지식습득능력이 우수했다.”

-6·25전쟁 이후 미 2사단에서 대대장을 지낸 콜린 파월 전 미 국무장관 저서中-

 

 

현재 현역으로 근무하고 있는 카투사는 약 3600명이며 카투사 지원 규정상 지원 횟수가 평생 단 1회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매년 약 2000명을 선발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주한미군 50여 개 지원대에 배치되어 보병· 포병·기갑·공병·통신·보급·행정·헌병 등 다양한 임무를 맡고 있습니다.

*인도-파키스탄 전쟁 당시의 비크란트 항공모함

 

인도는 2차 세계대전중 건조되다 중단된 영국의 허큘리스함을 1957년에 구입하였고 4년에 걸쳐 대대적인 개조 뒤에 1961년 11월 비크란트 항공모함을 실전 배치하였습니다. 그리고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전쟁이 터지자 시 호크 전투기 18대, 알제리 대잠초계기 4대 등을 탑재한 비크란트 항공모함은 파키스탄의 군사기지와 비행장 항구들을 공습하여 48시간 안에 모두 파괴하는 등 엄청난 활약을 펼쳤습니다.

 

 

사실 이전에는 비싼 항공모함 도입 비용과 부족한 함재기의 성능과 숫자라는 문제점으로 인해 인도 내에서는 항공모함 도입 및 운영에 상당한 반대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비크란트 항공모함의 활약으로 인해 인도는 항공모함의 전략적, 전술적 가치에 대한 의문을 더 이상 가지지 않고 계속 항공모함을 유지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현재는 스쿠버 다이버들의 다이빙 포인트로 바뀐 비크란트 항공모함

 

그러나 1990년대 들어 인도 해군이 보유하고 있던 항공모함 비크란트와 추가로 도입한 비라트의 함령이 40년을 돌파하면서 출항시간보다 수리시간이 점점 더 늘어나는 심각한 노후화 문제가 발생하면서 인도는 후속 항공모함이 절실한 상황에 처하였습니다. 그리고 기존에 운용하던 씨 해리어 FRS.51 수직이착륙기까지 성능 부족과 노후화 문제가 있었습니다. 거기에 1997년 1월 31일에 비크란트가 퇴역하여 기념관으로 전환되면서 인도에 남은 현역 항공모함은 비라트 한 척만 남게 되었습니다.

 

 

당시 인도는 비크란트을 대체하기 위해 1989년에 발표한 ADS라는 신형 항공모함 2척 건조계획을 진행하고 있었지만 2010년은 지나야 자국산 신형 항공모함 건조를 마치고 실전배치 될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이에 마음이 급한 인도는 결국 1998년 5월부터 러시아와 교섭을 시작하였습니다. 당시 러시아는 소련이 붕괴되면서 심각한 제정적 문제로 항공모함을 운용하기 힘든 상황이었습니다. 당시 인도는 러시아의 정통 항공모함은 아니지만 전통갑판형 항공순양함 고르시코프로 노후화 된 바크란트를 대체할 생각을 갖고 있었습니다.

 

 

고르시코프는 1991년 수직이착륙 전투기 Yak-41가 착함 시험 중 갑판에 충돌하면서 복구공사를 시행하였지만 1994년 보일러실에서 폭발사고까지 발생하였고 결국 가동불능 상태에 빠지면서 일선에서 퇴역하였고 1995년 7월부터 예비역으로 편입되어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런 이유로 1999년 러시아 국방장관이 인도를 방문하면서 고르시코프의 구매협상을 체결하였으며 2004년에 1월 함재기 포함 15억 달러에 고르시코프를 개조하고 업그레이드해서 인도하는 조건으로 인도와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당시 함체는 무상양도하고 선체 개조비용 8억달러만을 인도가 부담, 함재기는 러시아제 MiG-29K를 사용한다는 조건이었습니다. 또한 승조원 1500명의 훈련 역시 러시아가 담당하기로 하였습니다. 사실 인도는 시 해리어의 탑재를 검토하고 있었지만, 고온 다습한 인​​도양에서 이착함시 엔진 추력이 딸려 STOVL기는 불안하다는 운용 경험에서 결국 러시아의 MiG-29K를 구매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중요 개조 내용은 신형 KVG-2D(KVG-2M-GM) 보일러를 장착하며 P-500 바잘트 대함미사일 12기와 함교전방에 위치한 모든 무장을 철거하고 14.3도의 경사를 가진 스키점프대를 설치하고 함미에는 어레스팅 기어와 착함유도장치가 새로 장착되고 고정익기 운영을 위한 항법지원 시스템도 탑재하고 엘리베이터는 3대 중 함교후방의 엘리베이터만 용량이 20톤이여서 MiG-29K를 운용하기 위한 30톤으로 강화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2008년까지 개조와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인도해군에게 인도될 예정이었습니다. 그러나 개조공사가 2006년까지는 순조롭게 진행되었지만 2007년 1월부터 공사비용을 모두 소모하여 개조공사의 진척 상황은 지지부지하였습니다. 결국 러시아는 비용이 더 들어간다는 이유로 12억 달러를 인도측에 더 요구했고 인도는 당연히 반발하면서 결국 개조공사는 중단되었습니다. 당시 러시아는 인도의 비라트 항공모함의 퇴역이 임박하고 인도 해군의 국산 항공모함 비크란트의 건조도 지연되고 있다는 것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강하게 밀고 나갔던 것이었습니다.

 

*인도 함대에 공식 양도되는 모습

 

결국 마음이 급했던 2008년 2월 인도가 8억 달러를 더 지불하기로하면서 다시 개조가 시작되었습니다. 문제는 러시아는 한번 더 추가 대금지불을 요구하면서 인도는 총 23억 3천만 달러를 지불하였습니다. (처음보다 두배가 넘는 가격을...) 인도는 니미츠급 항공모함의 절반 가격이라는 것에 위안으로 삼아야 했습니다. 그렇게 2012년 건조가 완료되어 시험 항해까지 실시하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엔진 8개 중 7개가 고장 나면서 인도 해군에 인도하는 날짜가 또다시 연기되었습니다. 그리고 1년이 지난 2013년이 되어서야 마침내 정식으로 인도 해군 편제로 갔으며 2014년 인도 카르와르 기지에 도착하였습니다.

 

 

그렇게 개조 된 항공모함은 인도 신화에서 시바에 강림했다는 전설의 황자의 이름인 비크라마디티야라는 함명을 얻었습니다. 하지만 비크라마디티야는 전통갑판형 항공순양함에서 항공모함으로 개조공사를 한 것이기 때문에 배수량에 비해 격납고의 크기와 면적이 작고 가용수명이 짧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남아있습니다. 비크라마디티야의 수명은 약 30년 정도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사실 해외에서는 러시아가 돈이 없어서 해군 주력함을 인도에 헐값에 넘겼다는 이야기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러시아가 개조 후 인도에 판매하면서 당시 세베로드빈스크 조선소는 2000명의 고용효과를 얻었고 추가 비용까지 더 받아내었으며 MiG-29K와 항공기 이륙과 착함에 필요한 장비까지 판매하였습니다. 그리고 차기 항공모함을 위한 항공모함 건조능력이 향상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러시아 항공순양함을 개조해 인도에게 판매한 것은 신의 한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