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장네 실시간 이슈

 

미국의 비밀 해제된 문건들이 공개되면서 한국전쟁 당시 우리가 모르고 있었던 대한민국이 가장 위험했던 순간이 밝혀졌습니다. 당시 유엔군 사령관이었던 맥아더는 크리스마스가 오기 전에 전쟁을 끝내 중공군이 한반도 전쟁에 개입할 시간을 주지 않으려 했습니다. 그런 이유로 1950년 10월 중순, 평양을 탈환한 유엔군과 국군은 압록강을 향해 진격을 감행하였습니다. 많은 피를 흘린 한국전쟁에 마지막 승리가 눈앞에 보였습니다. 하지만 중공군은 이 무렵 압록강을 넘어 첫 공세를 개시하였습니다.

 

 

중공군의 전력을 과대평가 했던 UN군은 후퇴의 후퇴를 거듭한 끝에 38선 일대까지 밀리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UN군이 여기서 멈추지 않고, 또다시 낙동강 방어선까지 물러날 의사를 표하자 이승만 대통령은 크게 분노하였습니다. 1951년 1월 4일 서울은 다시 공산군에 의해 점령당하고, UN군과 국군은 평택-삼척에 이르는 37도선에 방어선을 구축하였습니다.

 

 

문제는 이 당시 미국 본토에서는 위험한 작전을 계획하고 있었습니다. 12월 22일 미 합동참모본부는 "중공의 참전의도가 한번도에서 유엔군을 완전히 몰아내려는 것임이 명백해진 이상, 유엔군은 한반도를 포기하고 완전히 철수한다"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구체적인 계획은 중공군이 금강까지 진출하게 될 경우 제주도에 망명정부를 수립, 약 백만명의 한국인을 이주기킨다는 계획이었습니다.

 

 

또한 우리 국군의 반발을 우려했던 미국은 한국정부나 일선 야전 부대에는 정식 통보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우리 국군은 이런 사태의 심각성을 모르고 있었습니다. 37도선에서 전열을 재정비하고 있던 우리 국군은 중공군의 공세가 재개된다면 지난 여름에 구축한 낙동강 방어선까지 후퇴 할것이라는 분위기가 흐르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일선 부대나 장병들은 37도선 바로 뒤에 있는 금강은 그다지 중요한 방어선으로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중요한건 금강 부근까지 밀릴경우 유엔군은 즉시 철군할 예정이었다는 점입니다. 결과적으로 이 시기는 한반도에서 전쟁이 발발한 이래 최대의 위기 상황 이였습니다.

 

 

그런데 이때 극적인 반전이 찾아오게 되는데 중공군은 우리 국군의 절박한 상황을 몰랐고, 전열 재정비를 위해 서울에서 진격을 멈췄습니다. 이 시기 신임 미 8군사령관으로 부임한 '매튜 리지웨이'는 UN군과 국군의 사기진작을 위해 승리할수 있는 소규모 국지전을 구상하고 있었습니다. 계속된 패배와 그로 인한 후퇴로 곤두박질 치고 있던 아군의 사기를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작은 승리가 절실히 필요 했기 때문이였습니다.

 

 

 

리지웨이 사령관은 소규모의 선공을 결심하고, 움직임이 둔화된 중공군을 찾아 나서기로 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1개 전차대대와 포병 및 공병을 증강한 미 25사단 27연대 전투단이 투입되었는데 이를 작전명 울프하운드라 불렀습니다. 그리고 울프하운드작전은 한국전쟁의 중대한 전환점이 됩니다.

 

 

1951년 1월 15일 항공기의 엄호를 받으며 평택-오산을 연결하는 1번 국도를 따라 수원방향으로 개시된 이틀간의 수색작전의 결과는 성공적이었습니다. 수원 부근에서 맞닥뜨린 중공군은 상상이상으로 보급수준이 매우 열악하여 가까운 시일 내에 공세를 재개할 수 없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던 것이었습니다. 이제까지 신비스러운 군대로 여겨졌던 중공군의 취약점을 적나라하게 파악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면서 아군에게 싸워볼만하다는 자신감을 불어 넣어주었습니다.

 

공교롭게도 이 작전은 철군을 기정사실화하고 후속대책을 위해 방한한 미 육군참모총장 콜린스(Lawton Collins) 대장이 지켜보는 가운데 실시되었는데, 이 작전으로 중공군과 그들이 사용한 전술이 낯설었을 뿐이지 결코 미국보다 강하지 않다는 것을 확실히 인지하게 되면서 현 전선에서 반격을 결정하게 되었던 것이었습니다. 리지웨이 사령관의 울프하운드 작전으로 벼랑 끝에 몰려있던 대한민국이 극적으로 살아나는 순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