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장네 실시간 이슈

 

탄창은 총기의 탄약을 연속사용이 가능하게 보관하는 물건이자, 가장 대중적인 화기의 급탄 방식의 하나입니다. 쉽게 말하면 총기총알을 집어넣는 곳입니다. 전면전에서는 공격부대가 아닌 이상 병사 1명이 소총 1자루에 하루 기준 탄창을 수십개씩 쓸 정도로 굉장히 많이 소모됩니. 엄청난 기술력이 필요한 총기의 필수품 탄창의 종류에 대해 소개합니다.


 

박스탄창

 

박스탄창은 현대 총기류의 가장 일반적인 탄창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탄을 밀어내서 장전하는 형식입니다. 길쭉한 상자 모양을 가지게 된 이유는 총탄의 형태 자체가 손가락처럼 짧은 막대기 형태인데다가, 탄창이 들어가는 총기류 자체도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태기 때문이며, 상자 형태가 대량 운반 및 휴대가 간편하기 때문입니다


 

튜브탄창

 

튜브탄창은 산탄총이나 레버액션 소총에서만 쓰이는 탄창입니다. 이런 탄창같은 경우 산탄총처럼 펌프액션으로 장전을 하는 방법과 레버액션으로 장전을 하는 방법이 존재합니다. 튜브탄창의 경우 앞에서나 뒤에서만 급탄이 가능하며 탄창의 장탄수가 적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탄창의 장탄수를 늘리려면 총열과 튜브 탄창의 길이를 늘려야 합니다.


 

 바나나탄창 

 

바나나 탄창은 30발 이상의 박스탄창을 만들고보니 탄피의 형상으로 인해 직선형태로 만들지 못하고 탄피의 테이퍼각에 따라 휘어지는 형상으로 만든 탄창입니다. 사실 대부분의 탄약은 탄피가 완전한 원통형이 아닌 탄자쪽으로 탄피지름이 조금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탄피에 테이퍼가 있을 경우 격발직후 팽창한 탄피를 꺼낼때 조금만 잡아당겨도 팽창한 탄피가 약실과 완전분리되기에 가스작동식이건 반동작동식이건 노리쇠가 후퇴하면서 탄피를 약실밖으로 배출하는 화기에 쓸 것을 가정하고 만든 탄약은 노리쇠후퇴 불량같은 사고를 막기위해 대부분 탄피에 테이퍼가 있습니다


 

드럼탄창

 

한국전쟁에서 북한군이 사용한 유명한 기관총 PPSh-41 등에서 사용된 형태의 탄창입니다. 둥근 드럼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태엽을 감아서 태엽의 힘으로 탄을 공급하지만, 현대에는 스프링의 힘만으로도 급탄이 될 정도로 기술이 발전하였습니다.


 

원반탄창

 

생김새 때문에 종종 드럼 탄창으로 착각하기 쉽지만 작동 원리 자체는 판이하게 다릅니다. 드럼 탄창은 태엽을 통해 장탄을 감아 올리는 식으로 장전하지만, 원반 탄창은 탄창이 직접 회전하는 식으로 급탄을 수행합니다. 루이스 경기관총이나 DP-28 등에 사용된 고전 기관총류를 위한 탄창입니다. 탄창이 직접 회전하면서 급탄한다는 특성상 특이하게 총기의 상부에 장전해야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로터리탄창

 

기본적인 형태는 미니 드럼탄창으로 보면 된다. 장탄수는 필연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지만 5발 정도밖에 안되는 장탄수라면 박스탄창보다 짧게 만들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에 간혹 수렵용으로 쓰이는 편입니다. 일부 .22LR탄을 사용하는 라이플과 SSG-69, 그리고 내부탄창이기도 하지만 M1941 소총쓰이기도 했습니다. 이 탄창형식을 이용해서 길게 만든 M16용 탄창이 있으며, 신뢰성이 떨어지고 휴대하기 불편했지만 위의 드럼탄창이 나오기 전까지 해당 총기계열의 유일한 대용량 탄창으로 활약했습니다.


 

헬리컬럼탄창

 

헬리컬 탄창은 긴 원통에 나선형으로 탄을 배치해서 태엽 등으로 급탄하는 방식입니다. 길쭉하게 만들 수 있어서 탄창이 툭 튀어나오지 않더라도 매우 많은 양의 총알을 넣을 수 있습니다 탄창에 넣을수 있는 탄환의 양이 탄창 크기 대비 압도적으로 많다는 점이 장점이지만, 탄환을 쏘다보면 무게중심이 탄창 반대쪽으로 쏠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꽉 채워 장전한 상태에서는 장탄의 무게 덕분에 총의 앞뒤 무게가 그럭저럭 맞아떨어지지만, 사격하면 탄창 안의 장탄이 줄어드므로 무게가 가벼워져서 무게가 쏠리게 됩니다.

 

 

북한군의 경우 헬리컬 탄창을 상당히 신뢰하는 듯 하며, 김정은 경호부대나 총참모부 직할 특수부대에도 상당수 보급되어 사용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