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해군의 강력한 태평양 극동함대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러시아 해군의
강력한 태평양함대라고도 불리우는
극동함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러시아 해군 태평양 함대는
동북아의 북단과 캄차카 반도에
위치한 러시아의 함대입니다.
러시아 해군은 소련 붕괴후 군 감축을
거치면서 처참하게 추락해버렸습니다.
어느 정도의 예산 감축이 있었는지
차근차근 살펴보고 갈게요
좌: 1990년이 소련 붕괴 직전의 해군 규모
우: 2015년의 러시아의 해군 규모
러시아가 그간 얼마나 경제적으로
파탄난 상황이었는지 보여집니다.
소련이 자랑하던 원자력 잠수함 SSBN은
59척에서 13척으로 감소했습니다.
SSGN도 58척에서 6척으로
구축함도 122척에서 10척으로 감소했습니다.
미 해군의 상황과 비교하면
그저 밑도 끝도 없을 뿐입니다.
러시아경제 파탄의 주범 옐친
이러한 최악의 상황에서도 러시아해군은
5개의 함대를 거느리고 있습니다.
푸틴 집권 후 러시아 해군의 상승 곡선은
더욱 더 가팔라지고 있고
미국에 이어 2인자의 자리를 지키고 있고
현재 그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극동함대는 지리 상 동아시아의 정세와
밀접합니다.
"태평양함대 (Pacific Fleet; Тихоокеанский флот)”로
불리우는 극동함대는 러시아의 캄차카 반도 및
그 주변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함대입니다.
극동함대의 모항은 블라디보스토크로
동해의 항구 중 하나이기에
한국과도 매우 가깝습니다.
극동함대는 1731년 제정러시아 시기에 창설됩니다..
이후 소련을 거치고
1991년 소련이 붕괴하자 자연스럽게
러시아 해군소속으로 바뀌었습니다.
사실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은 모스크바의
관심 밖이었는데 연해주가 영토로
편입되면서 부동항을 손에 넣자
이 지역은 꽤 중요하게됩니다. .
그리고 가장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발트함대의
일부 전대들이 극동함대에 포함되면서
극동함대는 서서히 커지기 시작합니다.
참고로 20세기 초반 급격히 팽창하던
일본군 해군에 극동함대는 너무나 열세였기에
금새 궤멸 당하고 곧이어 발트함대가 출항하지만
이 발트함대마저 1905년 쓰시마해전에서
처참히 패하고 맙니다.
현재 극동함대의 전력
태평양 함대의 수상함 | |||||
번호
|
종류
|
이름
|
급
|
취역연도/기타
|
|
순양함
|
어드미럴 우샤코프 (1번함)
|
키로프급
|
현대화 재개장 중
|
||
순양함
|
어드미럴 라자레프 (2번함)
|
키로프급
|
예비/현대화 재개장 중
|
||
011
|
순양함
|
Varyag
|
슬라바급
|
1983년
|
|
543
|
구축함
|
Marshal Shaposhnikov
|
우달로이급 I
|
1985년
|
|
564
|
구축함
|
Admiral Tributs
|
우달로이급 I
|
1985년
|
|
572
|
구축함
|
Admiral Vinogradov
|
우달로이급 I
|
1988년
|
|
548
|
구축함
|
Admiral Panteleyev
|
우달로이급 I
|
1991년
|
|
715
|
구축함
|
Bystryy
|
소브레멘니급
|
1989년
|
|
초계함
|
소베르쉔니
|
스테레구시급 2038.1
|
2013년배치
|
||
초계함
|
그롬키
|
스테레구시급 2038.1
|
2015년 배치
|
||
초계함
|
그리샤급
|
수량 미상
|
|||
초계함
|
나누추카급
|
수량 미상
|
|||
초계함, 미사일 고속정
|
타란툴급
|
수량 미상
|
태평양 함대의 상륙함
| |||||
번호
|
종류
|
이름
|
급
|
취역연도/기타
|
|
081
|
LST
|
Nikolay Vilkov
|
Project 1171 Alligator
|
1974년
|
|
066
|
LST
|
Oslyabya
|
Project 775 Ropucha I
|
1981년
|
|
055
|
LST
|
BDK-98
|
Project 775 Ropucha I
|
1982년
|
|
077
|
LST
|
Peresvet
|
Project 775M Ropucha II
|
1991년
|
태평양 함대의 잠수함 | |||||
번호 |
종류 |
이름 |
급 |
취역연도/기타 |
|
K-535 |
SSBN |
유리 돌고루키 |
보레이급 955 III |
2012년배치 예정 |
|
K-535 |
SSBN |
알렉산더르 네브스키 |
보레이급 955A III |
2012년 배치 예정 |
|
K-535 |
SSBN |
블라디미르 모노마흐 |
보레이급 955A III |
건조중, 배치 예정 |
|
K-44 |
SSBN |
Ryazan |
델타급 III |
1979년 |
|
K-506 |
SSBN |
Zelenograd |
델타급 III |
1979년 |
|
K-211 |
SSBN |
Petropavlovsk-Kamchatskiy |
델타급III |
1980년 |
|
K-223 |
SSBN |
Podolsk |
델타급III |
1980년 |
|
K-433 |
SSBN |
Svyatoy Georgiy Pobedonosets |
델타급III |
1981 |
|
K-150 |
SSGN |
Tomsk |
오스카급 II |
1991 |
|
K-456 |
SSGN |
Vilyuchinsk |
오스카급 II |
1991 |
|
K-186 |
SSGN |
Omsk |
오스카급 II |
1993 |
|
K-331 |
SSN |
Magadan |
슈카B/바스급 I |
1990 |
|
K-419 |
SSN |
Kuzbass |
슈카B/바스급 I |
1992 |
|
K-295 |
SSN |
Samara |
슈카B/바스급I |
1995 |
|
B-260 |
SSK |
Chita |
킬로급 |
1981 |
|
B-394 |
SSK |
킬로급 |
1988 |
||
B-445 |
SSK |
Svyatoy Nikolay Chudotvorets |
킬로급 |
1988 |
|
B-464 |
SSK |
Ust'-Kamchatsk |
킬로급 |
1990 |
|
B-494 |
SSK |
Ust'-Bolsheretsk |
킬로급 |
1990 |
|
B-187 |
SSK |
킬로급 |
1991 |
||
B-190 |
SSK |
Krasnokamensk |
킬로급 |
1993 |
|
B-345 |
SSK |
Mogocha |
킬로급 |
1994 |
러시아 극동함대 기지
먼저 수상함에서는
2척의 키로프급 원자력 미사일 순양함,
1척의 슬라바/모스크바급 미사일 순양함,
5척의 구축함,
그리고 다수의 초계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키로프급의 특징은 그 엄청난 크기에
따른 화력에 있습니다.
키로프급 4번함 표트르 벨리키
P-700 granit 초음속 대함미사일 20발을
탑재하고 있으며 각 미사일은 마하 2.5의 속도로
적의 함대방공망을 돌파할 기술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라닛 미사일의 사정거리는 대략 550km에
이르며 탄두중량도 약 750kg에 달합니다.
핵탄두 버젼도 존재합니다.
또한 장거리 대공미사인 S-300F 90여발
단거리용 SA-N-4 40여발 혹은
SA-N-9 190여발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 대잠헬기 3대와 소련에서 개발 된 소나 중
가장 평가가 좋은 MGK-355 Polinom도
장착하고 있습니다..
이 최신 소나는 반경 50km 범위 내의
잠수함도 탐지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개발의 주목적은 장거리 미사일을 통한
미 함대 전단의 접근 제지로서
사거리 550km의 대함 미사일인
P-500 Bazalt 16발을 갖추고 있고
함대방공 시스템으로 s-300 미사일의
함재형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대함 미사일을 유도하기 위한 용도인
Tu-142 장거리 초계기도 운용하고 있습니다.
슬라바급의 바랴그는 키로프급이 재개장 중인
지금 상황에서 극동함대 수상함의
주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현재 러시아 극동함대의 주력선인 바랴그
우달로이급 구축함은
배수량 6500톤으로 원양작전보단
근해작전에 초점을 맞춘 함선으로써
러시아 해군의 주력 구축함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상륙함에서는 4척의 러시아제
전차상륙함을 운용중입니다.
극동함대가 운용 중인 전차상륙함 중
하나인 BDK-98
뉴스에 따르면 러시아 해군은 4척도
모자라다 판단하고 2014년
1척의 프랑스 미스트랄급 항모를
극동함에대 배치했고
다른 한 척도 작년에 진수를 시작했습니다.
미스트랄급 상륙함
미스트랄급 항모는 배수량 16500톤으로
우리나라의 독도함과
비슷한 크기와 속력을 가집니다.
러시아 해군은 여가에 Ka-52 공격헬기 8대를
각각의 항모에 탑재하여
공격력을 높였다고 합니다.
극동함대에선 잠수함의 비중이 꽤 큰데
8척의 SSBN,
3척의 SSGN,
3척의 SSN,
그리고 다수의 킬로급 잠수함이
운용되고 있습니다.
8척의 SSBN중 2척은 러시아가
새로이 개발한 신형 보레이급
원자력잠수함으로써 이미 2012년부터
배치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보레이급은 수중배수량 24000톤의
러시아 최대의 SSBN이며
수중 시속 26~27노트의
속도를 낼 수 있으며
최대사거리 8000에서 10000키로인
탄도미사일 16기도 탑재합니다.
러시아 극동함대의
최신 원자력 잠수함인 보레이급
함재형으로 개조된 불라바 미사일은 핵탄두를
10개까지 탑재할 수 있는데
각 탄두의 유력은 히로시마 원폭의
13배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 보레이급의 미사일 체계는
미 7함대의 방공망에도
큰 위협이 될 거라고
군사전문가들은 말합니다.
불라바 미사일을 쏘아올리는
보레이급 원잠
3척의 SSGN은 전부 오스카급으로 오스카급이
미 해군의 니미츠급 항공모함 전단을
상대로 하기 위해 개발된 만큼
엄청난 성능을 자랑합니다.
소련 해군은 미 해군의 항모전단에
큰 위협을 느꼈는데 미 해군에 맞설 항모전단을
운용할 능력과 재정이 부족했기에 만들어진
항공모함전단 전문 원자력 잠수함입니다.
냉전 소련군의 원자력잠수함
http://kimssine51.tistory.com/98
이후 SSBN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미국은 전략핵공격용 SSGN을 폐기했지만
러시아는 대규모 항모전단 운용 능력이
없었기에 미 항모전단을
상대로 아직도 운용중입니다.
순항 미사일 발사가 주목적인 오스카급은
수중배수량 18000톤이상의 원잠인데
주목할 만한 것은 인공위성에 의해 유도되는
24발의 그라니트 순항 미사일을
탑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키로프급 순양함에서도 쓰이는 그라니트 미사일은
원잠용으로 개량되어 탄두만 해도
1톤에 달하며 최대 사정거리 625km
최대 비행속력 마하 2.5에 달하기에
이 미사일에 직격으로 맞을 경우
항모도 생존하리라 보기 어렵습니다.
물론 고고도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형태의
공격이므로 함대 방공망으로 쉽게 탐지가
가능하기에 그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습니다.
그 외에도 극동함대는 꽤 무거운 무장을 갖춘 소브레멘니급 구축함
스테레구시급 초계함
스텔스설계를 도입한게 특징
그리고 킬로급 재래식 잠수함도
여러 척을 운용 중에 있습니다.
킬로급도 역시 중국 해군이
운용하고 있습니다
푸틴이 집권한 후 고속 경제 발전을 이룬
러시아는 앞으로도 해군력 증강에
힘을 빼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러시아 해군은 2010년 이후 극동지역 함대에
투자를 꾸준히 하고 있으며 여러 척의
구축함과 호위함들을 지금 이 시각에도
생산해내고 있는 중입니다.
예를 들어 러시아 해군의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신형 호위함은 이미 세종대왕급 이상의
스펙을 지녔다고 평가받고 있으며
아예 호위함을 가장한 구축함이란 소리도 있습니다.
문제는 러시아 해군이 이러한 전투수상함을
몇 년안에 20척 이상건조할 계획에 있고
그 중 상당수가 극동함대에
배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러시아의 극동함대는 대한민국 해군이나
중국의 인민해방군 해군과는 비교도
안되는 조건을 갖추고 있고
일본의 해상자위대가 그나마 "극동함대"와
맞먹을수 있다고 분석되나 러시아 해군의
가파른 상승세가 유지되는 이상
앞으로 쭉 해상자위대가 우세를 점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측하고있습니다.
그리고 러시아의 경제상황을 봤을 때
그 차이는 더 벌어질 것이 분명합니다.
러시아군 일본 자위대간의 비교
그렇다면 이미 동아시아 바다의 패권이
왜 이미 진작에 러시아에 손에 들어가지
않았을까 반문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동아시아 담당인 바로
미 해군의 7함대가 있습니다.
러시아 해군의 극동함대의 주 라이벌은
미 7함대라곤 하지만 해군력이 정점을
찍고 있는 현재 미군
7함대는 사실상 무적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럴때 일수록 한미동맹을 더 굳건히 유지해야겠죠.
'밀리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6.25 한국전쟁 처참했던 최대의 고지전 (1) | 2016.06.25 |
---|---|
숨어있는 적까지 섬멸한다 코너샷 (0) | 2016.06.24 |
모든걸 뚫어버리는 권총 FN57 (0) | 2016.06.23 |
우리 남자들의 가슴을 뛰게하는 대물저격총 (0) | 2016.06.23 |
지금 북한이 계속 발사실험하는 중거리탄도미사일 무수단 (0) | 2016.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