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장네 실시간 이슈

 

만약 여러분이 전투기를 가지고 공중전을 펼치는 상황에서 Dead 6(죽음의 6시), 즉 나의 전투기 꼬리방향 6시 방향에 적기가 들러 붙었다면 거의 죽었다고 봐야합니다. 하지만 많은 영화들을 보면 주인공 전투기가 적기의 수많은 미사일을 회피하고 오히려 적기의 뒤쪽으로가 상대방을 격추시키는 장면을 많이 보셨을겁니다. 과연 그게 실제로도 가능할까요?

 

 

적의 미사일이 발사되었는지 확인이 되었다면 가장 먼저 외부연료통과 폭탄들을 다 버립니다. 그리고 조종사가 취할수 있는 방법은 두가지입니다. 하나는ECM(레이더 교란장치)를 켜는 것이고 또 하는 회피기동을 하는 것입니다. 미사일을 피하는 대표적인 회피기동 두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빔 기동과 코브라 기동입니다. 만약 자신의 전투기가 Dead 6 상황에 빠졌다면 이 두가지 기동을 통해 상황을 200% 바꿔놓을 수 있습니다.

 

 

빔이란 전투기의 3시 방향과 9시 방향을 말하는데, 빔 기동은 적 미사일이 내 전투기의 3시나 9시 방향에 오도록 방향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빔 기동은 두 가지 효과가 있는데, 하나는 미사일이 계속 선회하도록 만들어서 미사일의 속도를 최대한 깎아 놓는것입니다. 미사일 입장에서는 방어측 전투기가 좌에서 우로,혹은 우에서 좌로 횡단하는 모양새가 됩니다. 대부분의 대공미사일은 적기의 현재위치로 날아가는것이 아니라 적기의 예상위치로 날아가는 ‘비례항법방식’을 사용합니다.

 

 

그렇기에 미사일은 좌우로 가로질러 비행하는 적기를 쫓기 위해 더 빠른 원을 그리며 계속 적기의 예상 위치로 향하려 합니다. 물론 전투기 입장에서는 마찬가지로 계속 적 미사일이 자신의 옆구리 방향을 향하도록 해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전투기는 큰 원을 그리며 선회하게 됩니다. 먼 거리에 있는 미사일을 상대로는 현란한 급기동을 해봤자 수십km 떨어져있는 미사일입장에서는 각도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에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그리고 두번째 코브라 기동을 실시하면 미처 속도를 줄이지 못한 적기가 자신을 지나치게 하는 상황, 즉 오버슛 상황이 만들어집니다. 즉 적기를 자신의 앞으로 오게 만들 수 있으며 상황이 역전돼 적기를 뒤에서 쫓는 형상이 됩니다. 한마디로 수평진행 중 진행방향과 고도를 바꾸지 않고 날개각을 올렸다가 수평자세로 되돌아가는 기동을 합니다. 이 코브라 기동은 가장 유명한 기동이며 전 세계적으로 에어쇼에서 펼쳐진 기동중 가장 드라마틱하고 힘든 것 중 하나입니다.

 

 

수호이의 테스트 파일럿 빅토르 푸가초프가 1989년 파리 르 부르제 에어쇼에서 수호이 Su-37기를 이용해 처음 선보인 뒤로 푸가초프의 코브라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위 그림은 Su-37기를 판매하기 위해 만든 것인데 당연히 그림으로 보면 쉽게 가능해 보이지만 실제상황은 어렵습니다.

 

 

뿐만아니라 이 코브라 기동을 사용할 경우 미사일 회피가 아닌 공격 찬스를 2배 더 잡을 수 있으며 승률이 3배정도 올라간다고 합니다. 그러한 이유로 F-35같은 최신예 전투기들은 아무리 가속력이 낮아도 이런 고받음각 기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습니다. 실전에서는 미사일 회피보다는 공격적인 기동으로 더 많이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 두가지 기동을 했다고 미사일을 모두 피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이런 회피기동은 미사일에 격추될 확률을 10번에서 8번으로 줄여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미사일에 격추될 확률을 더 낮추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이런 회피기동과 함께 교란탄인 채프(Chaff)와 플레어(Flare)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채프란 레이더에 크게 반사되는 알루미늄 조각들입니다. 채프는 유리섬유에 알루미늄등을 입한 것을 통안에 넣어뒀다가 필요하면 공중에 뿌려버리는 방식이며 플레어는 적외선 유도 미사일의 한계를 이용한 장비로 전투기에서 플레어가 투하되면 마그네슘과 나트륨 등이 혼합된 화합물질이 고온의 열을 내면서 타들어갑니다. 이 플레어 사출로 다수의 미사일이 한 번에 교란될 수 있으며 최신형 공대공 미사일의 경우 모두 사출해도 실패할 수 있습니다. 

 

 

적이 먼저 나를 탐지하고 선제공격을 했다는건 나보다 우월하다고 봐야합니다. 더 뛰어난 무기를 가졌거나 전장상황을 더 잘 인식한다고 볼수도 있습니다. 공중전에서 그런 우월한 적을 상대로 유리하지 않으면 무조건 후퇴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로 피할곳도 숨을곳도 없는 현대의 해전과 공중전에선 변수가 많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소말리아 아덴만은 세계적인 해상교통로 요충지입니다. 하지만 사회체제가 붕괴한 소말리아의 상황으로 인해서 바다에는 해적이 들끓게 되었고, 이러한 소말리아의 해적질은 단순히 범죄를 넘어 해적 비즈니스로 불릴 정도로 국제적 골칫거리가 되었습니다. 이에 UN은 2008년 10월 7일 안보리에서 결의안 1838을 채택, 소말리아 해적들을 저지할 군사력을 요청하였습니다.


아덴만은 우리나라한테도 해상물류의 29%가 지나갈 정도로 중요한 곳으로, 해적에 의해 한국인들이 연이어 납치되자 대한민국 정부는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인 DDH-976 문무대왕함을 파견을 시작으로 청해부대를 결성하였습니다. 청해부대는 항구적 자유 작전 - 아프리카의 뿔을 위해 창설된 CTF-151 연합해군 함대에 배속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4~5개월 단위로 동급 함정을 교체투입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정예인 해군특수전전단(UDT/SEAL)의 대테러특임대 요원들이 탑승하고 있습니다.  

 

 

이 소말리아 해역호송전대는 옵스코어 헬멧에 HK416, MARS도트사이트 등 국군에서도 비교적 좋은 장비로 무장했으며 해군 작전용으로 최적의 헬리콥터중 하나인 링스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적극적 지원도 있고 부대원들의 긍지 또한 대단한데, 헬기에서의 저격이란 자체가 어려운데도 실전에서도 대단한 실력을 보이는 등 해적감시를 위한 연합부대에서도 대한민국 해군의 위상이 높습니다.

 

 

2011년 1월 21일 해적에게 피랍된 삼호주얼리호 구출작전 아덴만 여명 작전에 돌입해 해적 8명을 사살하고 5명을 생포, 한국인 8명을 포함한 선원 21명 전원을 무사히 구출하는 데 성공한 아덴만 여명 작전은 대대적으로 보도된 큰 사건이지만, 평소에는 국적에 관계없이 상선 호위를 맡습니다. 물론 자국, 즉 대한민국 국적 상선 혹은 외국 국적 한국인 승선상선이 우선 보호대상입니다.

 

AR: none">

 

우리나라는 사실상 해상무역에 모든 것을 의존하는 국가이면서도 그동안은 해상무역로 보호에 무관심했었습니다. 대한민국 안보에 가장 위협적인 북한과의 군사적 대치 상황 때문에 모든 지원이 육군에만 쏠리면서 대한민국 해군은 오랜 세월 북의 간첩선/고속정의 기습침투를 저지하는 연안해군을 강요받았습니다.

 


그러나 앞으로는 G20 국가로서 국제사회에서 그 위치에 걸맞는 공헌을 요구받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소말리아 해역호송전대의 역할과 위상은 더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상선만 보호하는 것도 손이 부족한 상황으로 추후 해군력 증강이 이루어진다면 부대 규모가 늘어날 가능성도 대단히 높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문제점을 이야기하자면 대한민국의 특성상 소말리아 해역호송전대 필요성에는 모두 공감하지만, 운용중인 무기체계에 대해선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북한과 주변국으로부터의 해양 군사위협보다는 상대적으로 위협의 우선순위가 적을 수밖에 없는 원양 상선단 호위에, 그렇지 않아도 주변국보다 수적으로 열세인 상황에서 주력 함대에서 군함을 차출함으로써 해군력의 공백을 야기하는 문제가 결코 간과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고작해야 소총, 박격포, RPG-7 정도로 무장한 해적을 상대하는데 대함미사일, 장거리 함대공미사일로 중무장한 최신형 군함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라닌 것입니다. 제 생각에도 가능하다면 함포에 헬기의 탑재, 운용능력 정도만을 갖춘 경무장 다목적함이 해당 임무를 수행하는 편이 바람직해 보입니다..